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하나포스
- 드림위즈
- 윤관영
- 망원 부대찌개
- 윤관영 시인
- 카페
- msn
- 다음
- 코로나 맛집 망원동 맛집 부대찌개 맛집
- 파워컴
- 싸이월드
- 부대찌개 맛집
- 야후
- 홍대 맛집
- 토크
- 부대찌개
- 세이클럽
- 아이러브스쿨
- 서교 맛집
- 망원 맛집
- 네이버
- 맛집
- 네이트
- 합정 맛집
- 코리아닷컴
- 부자부대찌개
- 망원맛집
- 망원 부자부대찌개
- 마포구 맛집
- 망원동 맛집
- Today
- Total
어쩌다, 내가 예쁜
꽃과 딸에 관한 위험한 독법/김륭 본문
꽃과 딸에 관한 위험한 독법
김 륭
그러니까, 나는 딸에게 꽃을 선물한 적이 없다
아파트 베란다 마른 빨래처럼 널린 여자들에게 꽃을 안기고 물을 주었지만
쑥쑥 키 자라고 젖무덤 솟아오르는 딸에겐 그저 엉덩이나 두들겨주고
발갛게 달아오른 볼에 입을 맞춰주었을 뿐
딸을 꽃으로 읽었다 그러니까, 나는 너를 사랑한다는 말을 하기도 전에
사랑해버린 것이다 고백컨대 내가 꾸역꾸역 삼킨 밥알에 관한 탐욕적인 묘사와
단 한 톨도 똥 덩어리로 밀려나지 않을 거란 눈물겨운 진술로 낳은
한 마디 문장을 사랑니처럼 뽑아들게 된 것이다
꽃은 늙지 않는다, 그러니까 딸은 바람의 문체로 완성한 꽃이다
딸이 꽃의 뿌리에 발을 담근 것인지 꽃이 딸의 손목에 수갑을 채운 것인지
햇살의 입을 열어 확인할 길 없지만 바람은 언제나
꽁꽁 꽃과 딸을 한데 묶어 피를 돌린다
나는 내 품을 떠난 딸이 보고픈 날이면 꽃이 미원진다 한없이
미워져 복사뼈 걷어차며 딸에게 떠먹인 살이라도 찾아오고 싶은 것인데
그건 곧 깨진 화분 같은 내 몸에서 끓고 있는
피에 관한 이야기
그러니까, 나는 널 목숨보다 더 사랑한다는 말을 밥 먹듯 할 수 있는 것인데
꽃나무 발등 위에 떨어진 꽃잎처럼 주절주절 흩뜨려놓고 사는 것인데
그럴 때면 눈이 빨간 산토끼처럼 꽃밭에 쪼그려 앉아있는
내 성기를 발견하곤 한다
바람이 위험해질 때 새들은 구름을 물어온다 그러니까, 구름은
딸과 꽃이 심겨진 아주 오래된 꽃밭이거나 딸과 내가 덮고 자는 이불이다
갈라선 아내가 키우고 있는 딸에게 모처럼 넣어본 전화를
꽃이 받는 순간의 낭패감이 찡 눈을 찔러오곤 한다
그러니까, 나는 딸과 꽃 사이에서 길을 잃었다
못 다한 사랑은 그렇게 나이를 먹는다 턱밑에 붉은 밑줄을 긋고
잘못 살았다 나는 제대로 늙기도 전에 미치거나 시드는 꽃을
눈물로 읽은 것이다
―『현대시학』2월호
나는 김륭의 시를 좀 위험하게 보는 중이다. 그의 말대로 갈라진 아내에 대한 얘기도 쓸 만큼 썼고 이제는 딸에 대한 얘기로 옮겨갔다. 김륭 시의 파괴력은 과격한 고백에서 나온다는 면에서 그가 파먹을 근거가 어디까진가 싶기도 하지만 안타깝기도 하다. 물론 추진력있는 시인이라 믿기에 - 나는 그 추진력 여부를 전적으로 시를 형상화 하는 능력에서 찾는다 - 안심이고 또 내가 안타까워할 일만도 아니다. 다만 우려할 만한 일들은 시단이 만드는 측면도 있다. 2007년 등단의 그를 이제는 활동을 시작하자 과거 불교문예 등단 연도로 옮겨가서 대가가 되었다. 그것은 그 만의 잘못도 아니지만 그가 허영에 자신을 관리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.
이 시는 딸을 사랑하능 아비의 갈등과 고민과 사랑하는 마음이 잘 형상화 되어 있다. 딸과 꽃 사이의 방황이란 말로, 거기에는 '그러니까'란 말이 전체를 이끌어 가는 코드이기도 하다.
비교적 긴 시이지만 시인의 형상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시로 김륭의 수작 중의 하나가 아닌가 한다.
'맘에 드는 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림의 별리 (0) | 2008.09.03 |
---|---|
그 자리 - 윤관영 (0) | 2008.06.20 |
장주가/이백 (0) | 2008.01.28 |
입동_이정주 (0) | 2008.01.02 |
옛사랑은 라디오를 듣는다_윤제림 (0) | 2008.01.02 |